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고령자 맞춤형주택 신청방법

by warr-news 2025. 8. 7.
반응형

 

국토교통부가 전국 14곳에 청년·고령자·신혼부부 맞춤형 특화주택 1786가구를 공급합니다. 지역 맞춤 설계로 주거·복지·일자리까지 통합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 정책입니다.

 

전국 14곳에 청년·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1786가구 공급

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등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에 총 1,786가구수요자 맞춤형 특화주택을 공급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급 대상은 ▲청년특화주택 ▲고령자복지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등이며, 청년층 주거안정, 고령층 복지주거, 지방인구 유입, 직주근접 실현 등 다양한 목적을 갖춘 공공임대주택으로 구성됩니다.

 


1. 청년·고령자·신혼부부 위한 맞춤형 특화주택이란?

특화주택은 일반적인 임대주택과 달리, 입주자 특성에 맞춘 편의시설과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고령자복지주택에는 안전손잡이, 사회복지시설이 포함되며, 청년특화주택에는 공유주방, 계절창고, 코워킹 공간 등이 조성되어 실생활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 공급지역 및 세부 가구 수는?

이번 특화주택 공급은 경기, 전북, 강원, 울산, 제주 등 전국 14개 지역에 분산 공급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 1,083가구

  • 경기 부천시 : 3기 신도시 내 741가구, 세대 간 돌봄 가능 주거
  • 경기 동두천시 : 청년·신혼부부 대상 210가구
  • 강원 삼척시 : 탄광근로자·대학생 대상 100가구
  • 경기 포천시 : 청년 군무원 대상 32가구

✅ 고령자복지주택 – 368가구

  • 울산시 2곳 : 214가구
  • 경기 부천시 : 100가구
  • 제주 서귀포시 : 54가구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복지시설 포함 임대주택 공급

✅ 청년특화주택 – 176가구

  • 전북 부안군 : 100가구
  • 전북 고창군 : 40가구
  • 울산광역시 : 36가구 (울산대학교 인근, 공유시설 포함)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 159가구

  • 경기 광명시 : 광명학온지구 내 123가구 (산업단지 근로자 대상)
  • 울산시 온산국가산단 인근 : 36가구

 

3. 지역 여건 맞춘 설계로 실효성 강화

특히 이번 공모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지자체가 지역 상황에 맞게 입주 요건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호응이 컸습니다. 예를 들어 부천시는 중산층까지 포함한 복합개발형 공공임대주택을 최초로 시도하고 있으며, 삼척시는 지역 직업군 특화로 지역 고용 연계형 주택을 추진 중입니다.

 

4. 국토부의 향후 계획

국토부는 이번에 선정된 사업들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등 절차를 원활히 마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맞춤형 컨설팅, 사업 설명회, 온라인 홍보 등을 통해 국민과 지자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특화주택 사업의 지속적 활성화를 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5. 특화주택 신청 및 문의처

  • 문의: 국토교통부 청년주거정책과
    • ☎ 044-201-3638
    • ☎ 044-201-4102

특화주택은 각 지자체 및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급 시기에 맞춰 별도로 공고하며, 입주자 모집은 해당 시·군 홈페이지 또는 LH 청약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고령자 주거 안정의 새로운 모델  

이번 특화주택 공급은 단순한 주거 제공을 넘어, 복지·일자리·공유공간까지 결합한 통합형 생활환경 제공 모델입니다. 특히 지방의 청년 유입과 고령자 복지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지방소멸 대응, 지역균형 발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됩니다.

반응형